교육과정 이수체계와 운영
단계
전공 구분
전공 이수 교과목
1단계전공기초과목

교과내용학Ⅰ, 교과교육론Ⅰ, 연구방법론, 영어교과목

2단계전공심화과목

교과내용학Ⅱ, 교과교육론Ⅱ

3단계전공실습 및 논문연구

전공실습, 논문연구

교과과정 운영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연구방법론

언어

사회·문화

법·정치

경제

교사관

교육과정

교수법

평가 및 실습

질적연구

양적연구

혼합연구

개설교과목
구분
교과목 (60과목)
전공기초
(24)
교과내용학Ⅰ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국제이주와 젠더*, 다문화교육지도자론, 다문화여가정책론, 

이민법제론*, 이민정책론*, 이주문학의 이해,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이해*

교과교육론Ⅰ

다문화교육과정연구, 다문화교육교재연구, 다문화교육론*, 다문화교육센터프로그램연구,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다문화사회와 경제교육, 이중언어교육론*, 한국어교육론*

연구방법론

다문화교육양적연구방법론, 다문화교육융합연구방법론, 다문화교육질적연구방법론, 사회조사와 질적연구 입문

영어교과목Theory and Methodology of Migration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iteracy, Introduction to Intercultural Education, Introduction to Ethnic Counseling
전공심화
(30)

교과내용학Ⅱ

국제이주와 사회통합*, 국제인권법*, 내러티브와 문학치료, 노동법*, 다문화가정아동문학론, 다문화가정여가교육세미나, 다문화교육정책론, 다문화사회와 경제법사례연구, 다문화상담의 이해, 다문화아동청소년이야기치료, 문화번역론, 북한이탈주민연구, 아시아사회의 이해*,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이민자한국어교수법, 이주민생애사연구,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한국문화교수법, 해외동포사회의 이해*, NGO와 이주민단체연구

교과교육론Ⅱ

다문화사회와 금융교육, 다문화가정학생과 언어교육, 다문화교육철학,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 다문화사회와 다종교교육, 다문화사회와 법교육, 다문화사회와 여가교육, 한국어교육정책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의사소통교육론

전공실습
(6)
현장실습

이민다문화현장실습*, 다문화상담현장실습, 다문화정책현장실습, 다문화경제교육실습, 이민자한국어교육실습, 문학치료현장실습


* 법무부 다문화사회전문가 자격증 이수과목 


역량 중심 교과목 운영
역량
교과목
인문학적 성찰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국제이주와 젠더

·다문화교육지도자론 

·다문화여가정책론

·이민법제론

·이민정책론 

·이주문학의 이해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이해 

·국제이주와 사회통합

·국제인권법

·내러티브와 문학치료

·노동법

·다문화가정아동문학론

·다문화가정여가교육세미나 

·다문화교육정책론

·다문화사회와 경제법사례연구

·다문화상담의 이해 

·다문화아동청소년이야기치료 

·문화번역론

·북한이탈주민연구

·아시아사회의 이해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이민자한국어교수법

·이주민생애사연구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해외동포사회의 이해

·NGO와 이주민단체연구

사회과학적 탐구

·다문화교육양적연구방법론

·다문화교육융합연구방법론

·다문화교육질적연구방법론

·사회조사와 질적연구 입문


교육학적 실천

·다문화교육과정연구

·다문화교육교재연구

·다문화교육론

·다문화교육센터프로그램연구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다문화사회와 경제교육

·이중언어교육론

·한국어교육론

·다문화사회와 금융교육

·다문화가정학생과 언어교육

·다문화교육철학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

·다문화사회와 다종교교육

·다문화사회와 법교육

·다문화사회와 여가교육

·한국어교육정책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의사소통교육론

·한국문화교수법

특성화 트랙별 교과과정표
트랙명
책임교원
교과목명
다문화상담· 복지
박수정 교수

·다문화여가정책론

·에스닉 카운슬링의 이해

·다문화사회와 여가교육

·다문화 아동청소년 이야기치료

·다문화상담의 이해

이민다문화정책
정상우 교수

·국제인권법

·국적법의 이해

·난민법의 이해

·국경관리와 체류의 이해

·노동법

이주문학
최현식 교수

·이주문학의 이해

·내러티브와 문학치료

·다문화가정 아동문학론

·이주민 생애사 연구

·문화번역론


다문화교육전문가를 위한 영역별 교과목 운영
영역
교과목

가정 차원

(문화적응 차원)

·이중언어교육론

·한국어교육론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이주문학의 이해

·한국어문화교수법

·이민자한국어교수법

·다문화가정아동문학론

·다문화상담현장실습

·이민자한국어교육실습

학교 차원

(프로그램 개발)

·다문화교육론

·다문화가정학생과 언어교육

·다문화교육지도자론

·다문화교육양적연구방법론

·다문화교육교재연구

·다문화교육질적연구방법론

·다문화아동청소년이야기치료

·다문화가정여가교육세미나

지역사회 차원

(거버넌스 구축)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이해

·다문화 사회와 다종교교육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다문화 사회와 법교육

·노동법

·이민법제론

·다문화교육센터프로그램연구

·NGO와 이주민단체연구

·다문화 사회 교수방법론

국가 차원

(다문화교육 정책 기여)

·다문화여가정책론

·다문화교육정책론

·이민정책론

·다문화사회와 경제법

 사례연구

·다문화정책사례연구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

·다문화정책현장실습

·다문화경제교육실습

·북한이탈주민연구

초국가 차원

(글로벌 네트워크) 

·국제이주와 젠더

·해외동포사회의 이해

·국제이주와 사회통합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국제인권법

·이주민생애사연구

·문학치료현장실습

·내러티브와 문학치료